경제, 시사, 상식, IT/국제 시사
🚘 전기차 속도 조절? 다시 부는 '내연기관'의 바람
퇀
2025. 7. 29. 01:24
한동안 전기차가 자동차 산업의 미래를 독점하는 듯했지만, 최근 분위기가 달라지고 있습니다.
GM, BMW, 아우디, 메르세데스-벤츠 등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이 전동화 계획을 일부 보류하고 내연기관차 생산 확대에 나서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 GM, 전기트럭 대신 가솔린 SUV 생산
- 미국 1위 자동차 기업 **GM(제너럴모터스)**는
총 5조 5700억 원 규모의 내연기관 투자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 전기트럭 생산 예정이었던 미시간 오리온 공장은
대형 가솔린 SUV·픽업 생산으로 전환됩니다. - 미국 정부도 이에 맞춰 전기차 세액공제 폐지,
평균 연비 규정 완화 등 정책 방향을 선회 중입니다.
"2035년 완전 전동화" 목표는 사실상 철회 수순에 들어간 셈입니다.
⚡ 전기차는 포기한 걸까?
그렇진 않습니다. GM은 올해 상반기
전기차 7만 8000대를 판매하며 미국 내 점유율 13%,
전년 대비 111% 성장이라는 성과도 냈습니다.
GM CEO 메리 바라의 말처럼
"전기차는 근본적으로 더 나은 미래지만,
아직 배터리 기술과 충전 인프라가 부족하다"
즉, 완전한 전환까지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 유럽도 혼합 전략 유지 중
- BMW는 “하이브리드·가솔린·디젤·전기·수소차 등
모든 파워트레인 전략을 유지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 아우디는 2033년 내연기관 생산 중단 계획을 철회했고,
- 벤츠는 2026년 이후 AMG 모델에 신형 8기통 하이브리드 엔진을 탑재 예정입니다.
🔍 전문가의 분석
김필수 대림대 교수는 다음과 같이 진단합니다.
- 전기차 시장 둔화는 현실
→ 인프라 부족, 비싼 가격, 충전 불편 등이 원인 - 내연기관 강화는 과도기 대응
→ 영원한 회귀가 아니라, 전기차 전환까지의 유예 조치
결국 "전기차·수소차로의 흐름은 필연적"이며
당분간은 혼재 상태가 이어질 전망입니다.
✅ 맺음말
- 전기차 전환은 속도 조절 중입니다.
- 완성차 기업들은 수익성 높은 가솔린 차량을 중심으로 대응에 나섰습니다.
- 하지만 이는 ‘후퇴’가 아닌 ‘숨 고르기’이며,
중장기적으로 친환경차 시대는 예정된 수순입니다.
車 전동화 주춤...내연기관 시대 길어진다
글로벌 완성차 업계가 전기차 전환이 주춤하는 사이 내연기관 투자를 늘리고 있다. 전기차 시장 수요가 당초 예상했던 수치만큼 성장하지 않자 잘 팔리는 수익 차종에 집중하면서 때를 기다리
n.new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