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컴공 전공, AI 시대에 왜 흔들릴까? 오히려 문과생이 뜬다!
“컴퓨터공학과 나오면 무조건 취업 잘 된다”는 말, 이제는 옛말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최근 미국 취업 시장에서 나타나는 흐름을 보면 충격적인 사실이 드러납니다. AI가 코딩·설계·분석까지 빠르게 대체하면서, 오히려 인문·사회계 전공자의 취업률이 이공계보다 더 높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죠.
📊 충격적인 통계: 이공계 실업률, 인문계보다 높다
뉴욕연방준비은행 통계(2025년 5월 기준)에 따르면 미국 22~27세 대학 졸업자 평균 실업률은 4.8%.
그런데 전공별로 보면 상황이 완전히 다릅니다.
- 컴퓨터공학: 7.5%
- 물리학: 7.8%
- 화학: 6%
반면, 인문·사회계열은 오히려 더 낮습니다.
- 미술사: 3.0%
- 철학: 3.2%
- 외국어: 4.0%
즉, ‘이공계=안정적인 취업’이라는 공식이 흔들리고 있는 겁니다. 특히 UC버클리 같은 명문대 컴퓨터과학과 졸업자조차 취업이 잘 안 되고 있다는 사실은 업계에 큰 충격을 주고 있어요.
🏛️ 원인은 무엇일까?
1. AI의 무서운 대체 효과
AI는 이제 단순한 코딩을 넘어 연구 분석, 시뮬레이션, 설계까지 수행합니다.
예전에는 주니어 엔지니어나 연구원이 맡던 업무를 AI가 대신하면서 엔트리 레벨 채용이 급감했죠.
2. R&D 예산 삭감
트럼프 행정부 이후 과학 연구개발(R&D) 예산이 축소되면서 과학·공학 직종 채용 공고가 18%나 줄었습니다. 결국 기업들은 신규 연구원보다는 ‘즉시 투입 가능한 경력자’만 뽑는 구조로 바뀌고 있습니다.
3. 빅테크의 신입 기피 현상
구글, 메타, 아마존 같은 빅테크는 팬데믹 이후 ‘적은 인력, 효율적 운영’ 전략을 도입했습니다. 신입 채용 비중은 현재 **7%**에 불과한데, 이는 팬데믹 전의 절반 수준밖에 안 됩니다.
🎓 반대로 문과생이 뜨는 이유
AI가 아무리 발전해도 아직 잘 못하는 게 있죠. 바로 문제 정의, 기획, 윤리적 판단, 이해관계 조율 같은 영역입니다.
이건 전통적으로 인문학 교육에서 길러온 능력과 맞닿아 있습니다.
예를 들어, AI가 코드를 대신 짤 수는 있어도 “어떤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지”, “사회적으로 어떤 영향을 줄지” 같은 질문은 결국 사람이 던져야 하죠.
CNBC 보도에 따르면 블랙록 COO 로버트 골드스타인도 “역사·영문학 전공자 등 비이공계 인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실제로 AI 스타트업 창업자 중 상당수가 인문학 전공 출신입니다.
- 다니엘라 아모데이 (Anthropic 공동창업자) – 영문학 전공
- 크리스토발 발렌수엘라 (Runway 창업자) – 예술 전공
- 제이컵 라모스 (BruinAI 창업자) – 철학 전공
🤔 앞으로의 전망
이 흐름은 단순한 일시적 트렌드가 아니라 구조적인 변화로 보입니다.
- 이공계는 경력직 중심·고급 인력 위주 시장으로 재편될 가능성이 큽니다.
- 반대로 인문학 전공자는 AI를 활용해 기획·조율·의사결정을 맡는 역할에서 기회를 찾을 수 있습니다.
- 즉, “AI가 할 수 없는 일”을 잡는 사람이 승자가 된다는 것이 핵심이죠.
📌 정리
- AI 확산 + R&D 축소 = 이공계 신입 취업난 심화
- 미국 주요 대학에서도 컴공 실업률이 철학보다 높음
- 문과생은 기획·윤리·문제 정의 역량으로 오히려 주목
- AI 시대, 진짜 경쟁력은 “기술 그 자체보다 사람 고유의 사고력”
👉 이 글을 읽는 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앞으로 대학 전공 선택이나 커리어 방향에서 “문과냐 이과냐”가 중요한 게 아니라, “AI가 대신할 수 없는 영역을 내가 할 수 있느냐”가 핵심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