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연봉 부러운 처우 자랑하던 펄어비스, 충격의 적자 사태
한때 ‘꿈의 직장’이라 불리며 업계 최고 수준의 연봉과 복지를 자랑했던 게임사 펄어비스가 올해 2분기 100억 원이 넘는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주가는 하루 만에 24% 폭락했고, 주주들은 “경영진을 엄벌하라”는 청원까지 올리며 강력히 반발하고 있습니다.
💰 업계 최고 대우, “연봉 1억은 기본”
펄어비스는 대표작 **‘검은사막’**으로 글로벌 흥행에 성공하며, 직원 복지와 연봉에서 업계 최상위 수준을 유지해왔습니다.
- 2023년 기준 평균 연봉 1억1100만 원
- 20대 직원 평균 연봉: 6177만 원
- 30대 직원 평균 연봉: 1억381만 원
특히 복지 제도는 파격적이었습니다.
- 회사 인근 거주 직원: 매달 50만 원 거주비 지원
- 외부 거주 직원: 대출 이자 전액 지원
- 미혼 직원: 월 1회 가사도우미 청소 지원
- 난임 부부: 시술 비용 100만 원 무제한 지원
- 부모 요양비: 월 40만 원 지원
- 반려동물 보험까지 제공
이 같은 제도로 인해 채용 공고가 열릴 때마다 ‘역대급 경쟁률’을 기록하며 수많은 지원자들이 몰려들었습니다.
📉 그러나 찾아온 적자 늪
겉보기에는 화려했지만, 실적은 악화일로였습니다.
펄어비스가 13일 발표한 2025년 2분기 실적은 충격적이었습니다.
- 매출: 796억 원
- 영업손실: 118억 원
- 당기순손실: 227억 원
작년 같은 분기(-58억 원)보다 적자 폭이 두 배 가까이 늘어났습니다.
특히 올해 흑자 전환을 기대하게 했던 신작 ‘붉은사막’이 출시가 내년 1분기로 또다시 연기되면서, 연내 턴어라운드는 사실상 불가능해졌습니다.
🕹️ “붉은사막” 세 번째 연기, 신뢰 위기
펄어비스가 ‘검은사막’을 잇는 차기작으로 내세운 붉은사막은 이미 세 차례 출시가 미뤄졌습니다.
올해 4분기 출시 약속을 지키지 못하면서, 투자자와 게이머들의 신뢰도에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허진영 대표는 “약속을 지키지 못해 죄송하다”고 공식 사과했지만, 반복된 일정 번복은 더 이상 단순한 개발 지연이 아니라 경영 리스크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 주주들의 분노와 업계의 시선
주가 급락 직후, 일부 주주들은 “주주를 기만한 코스닥 경영진에 엄벌을 촉구한다”는 청원을 올렸습니다.
- 주주 입장: “고연봉·복지는 유지하면서 실적은 최악”
- 업계 시각: “핵심 IP 부재와 개발 지연이 장기화되는 구조적 문제”
결국 펄어비스가 사람 중심의 기업문화와 실적 관리 사이의 균형을 잃은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커지고 있습니다.
🔍 정리
- 펄어비스, 업계 최고 연봉(평균 1억↑)과 복지를 자랑했지만 2025년 2분기 227억 순손실
- 신작 ‘붉은사막’ 출시 세 번째 연기 → 주가 24% 폭락
- 주주 반발 격화, 경영진 책임론 확산
- 단기적으로 실적 회복은 어려울 전망
👉 펄어비스가 과연 ‘검은사막의 영광’을 잇는 후속작으로 위기를 극복할 수 있을지, 아니면 고연봉·복지 기업의 한계를 드러낸 사례로 남을지가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