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로보락 2

🔐 한국 개인정보보호법, 중국 제조사들은 어떻게 대응할까? – 로보락의 선행 사례

📌 배경한국 시장에 진출한 글로벌 가전사들은 반드시 개인정보보호법(PIPA)을 따라야 합니다. 그러나 최근 조사 결과, 중국계 가전사 다수는 이를 충실히 지키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 기업별 개인정보 처리 현황TCL·마이디어한국어 버전 정책 없음글로벌 가이드라인 또는 GDPR 기준만 제시업데이트도 2021년에 멈춘 상태샤오미한국어 정책 제공"관할권 내 개인정보보호법 준수"라는 문구 존재하지만 한국법에 따른 구체적 개정·준수 설명 부재에코백스기사에 따르면 마찬가지로 한국법 반영 미흡로보락올해 3월 개인정보 처리방침을 한국법 기준으로 개정PIPA 제15조 제1항 제4조(계약 이행 목적의 수집·이용 근거) 명시다만 "중국에서 직접 수집" 문구가 포함되며 논란 발생➡ 해명: 실제 저장 위치는 미..

🧨"싼 게 비지떡?" C-웨이브의 그림자…중국 플랫폼에 새는 당신의 개인정보

요즘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쉬인, 로보락 같은 중국산 앱·가전 브랜드 많이 사용하시죠?그런데 그 편리함 뒤에는 우리 개인정보가 해외로 무단 유출되고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최근 언론과 보안 기관들은 이른바 **‘C-웨이브’**의 확산 속에 개인정보보호 사각지대가 커지고 있다며 경고를 보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이 문제의 핵심 이슈와 최신 사례를 정리해 봅니다. 📦 C커머스 개인정보 유출 실태 요약플랫폼사용자 수 (월 평균)과징금문제점 요약테무(TEMU)821만 명13.7억 원해외 위탁 저장 사실 미고지알리익스프레스895만 명19.8억 원판매자 정보 이전 시 고지 없이 진행쉬인(Shein)109만 명미공개성장률 52%↑, 정책 불투명 우려 🤖 로봇청소기에도 ‘데이터’가 빨려간다?로보락: 국내 점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