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가 디지털 주권 확보를 위해 사상 최대 규모의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프로젝트를 가동합니다.
네이버, 카카오, SKT 등 국내 빅테크와 유망 스타트업, 연구기관이 참여하는 15개 초대형 컨소시엄이 출격했으며, 총 2000억 원 규모의 국비가 투입됩니다.
🤖 ‘K-AI’ 진검승부 시작…15개 컨소시엄 격돌
- 참여 기업/기관:
네이버클라우드, 카카오, SKT, KT, LG AI연구원, 엔씨AI, KAIST
루닛, 업스테이지, 모티프테크놀로지스 등 AI 스타트업 포함
→ 대학·공공기관·벤처 등이 파트너로 결집 - 컨소시엄 구성:
대기업 중심, 스타트업 주도 창의형, 학연합작형 등 다양한 모델 - 평가 절차 (2025년 7~8월):
- 1단계: 서류 적합성 검토
- 2단계: 서면평가로 상위 10개 팀 선정
- 3단계: PT 발표평가 후 최종 5팀 확정
🧠 단순 ‘파인튜닝’ 아닌…국산 모델 ‘설계부터 학습까지’
- 이번 프로젝트는 해외 오픈모델을 가져와 파인튜닝하는 방식 배제
- ‘설계부터 사전학습까지’ 완전한 국산 독자 모델 개발이 목표
- 데이터셋, 슈퍼컴퓨팅 인프라, GPU, 전문 인재 전방위 국가 지원
💡 반도체부터 산업모델까지…국가 R&D 풀패키지
- 국산 AI 반도체(GPU 가속기) 활용 계획도 평가 항목에 포함
- 향후 공공 챗봇, 산업 특화 모델, 멀티모달 AI 등 실전 확장 기대
- 기업은 단 1개 컨소시엄에만 참여 가능 (중복 방지 룰 적용)
🚨 생성형 중심 편중? 업계의 우려도
- 일부에선 생성형 AI에 집중된 정책 방향성에 우려
- 이미지·언어 외 응용형 AI, 산업 특화형 AI는 소외될 수 있다는 지적
📌 요약 정리
항목 | 내용 |
총 예산 | 약 2000억 원 |
주관 부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주요 참여사 | 네이버, 카카오, SKT, KT, 루닛, KAIST 외 |
목표 | 국산 초거대 AI 모델 개발, 디지털 주권 확보 |
최종 선발팀 수 | 5개 (2025년 8월 초 확정 예정) |
개발 조건 | 설계~학습 전 과정 독자 수행 (파인튜닝 금지) |
정부 초대형 AI 프로젝트에 IT·스타트업·연구소 총집결 - 시사저널e
[시사저널e=송주영 기자]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를 겨냥한 ‘K-AI’ 경쟁이 본격화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 나서면서 네
www.sisajournal-e.com
'경제, 시사, 상식, IT > 국내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폭염 아니면 폭우…2025 여름, 왜 이렇게 극단적일까? (1) | 2025.07.27 |
---|---|
🔋 K배터리, 전기차 넘어서 ESS로…전환점에 선 산업 (3) | 2025.07.26 |
🧠 AI 인재, 한국 떠나 미국으로…왜 ‘두뇌 유출’이 멈추지 않나? (4) | 2025.07.22 |
🏃♀️ 한국 성인 4명 중 3명, “운동 안 한다”…운동 부족 ‘심각’ (3) | 2025.07.22 |
🌊 “얕아 보여도 위험”…금강서 20대 4명 익사, 비극의 물놀이 (1) | 2025.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