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한국 정부가 추진 중인 온라인 플랫폼법에 대해 공식적으로 우려 서한을 보냈습니다.
서한의 발신자는 미 하원 법제사법위원회, 수신자는 한국 공정거래위원회.
미국은 이 법이 구글 등 자국 빅테크 기업을 겨냥한 규제라며, 중단을 요구하고 나섰습니다.
🧾 어떤 서한을 보냈나?
- 2025년 7월 중순, 미 하원이 한국 공정위에 공식 서한 발송
- 한국의 온라인 플랫폼법이 미국 기업을 부당하게 표적할 수 있다는 항의성 내용
- 8월 7일까지 해당 법이 미국 기업에 미칠 영향을 설명하라고 요구
⚖️ 논란의 중심: 온라인 플랫폼법이란?
-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
- 구글·애플 같은 **빅테크 기업의 불공정 행위(끼워팔기 등)**를 막기 위한 법안
- 특정 기업을 ‘공룡 플랫폼’으로 지정해 관리·감독 강화
- 소규모 플랫폼이나 중국계 기업은 규제 대상에서 제외된다는 점도 미국 측 우려 포인트
💥 미국의 반응은?
- **"차별적 규제다.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
- 7월 초, 미국 하원의원 40여 명도 트럼프 행정부에
→ **"한국과의 협상에서 이 법 제정을 막아달라"**는 서한 보냄 - 디지털 통상에서 자국 기업의 피해를 절대 용인하지 않겠다는 방침 강조
🧭 한국의 입장은?
- 공정위는 “서한 내용을 검토 중이며, 적절히 대응할 것”이라는 원론적 입장
- 법안 추진 여부는 8월 1일 전 타결을 목표로 한 한미 통상 협상과도 연결
🧩 배경 요약
- 디지털 통상 규범을 둘러싼 한·미 갈등
- ‘시장 개방 vs 공정 규제’라는 이슈 충돌
- 이 법안은 단순한 내국법이 아닌 국제 통상 외교 문제로 확전 중
미 의회도 압박 가세…“온라인 플랫폼법 우려, 설명하라” 서한
[앵커] 미국의 압박은 전방위적입니다. 한미 협상의 주요 쟁점 중 하나가 우리 정부가 추진 중인 '온라인 ...
news.kbs.co.kr
'경제, 시사, 상식, IT > 국제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스페이스X 못 건드리는 이유? 머스크 밉지만 ‘대체불가’ (0) | 2025.07.28 |
---|---|
⚔️ 태국 vs 캄보디아 국경 무력 충돌…왜 여기까지 왔나? (2) | 2025.07.27 |
☀️에어컨 '펑펑' 틀어도 전기요금 0원? 영국에선 진짜 가능해졌습니다! (4) | 2025.07.26 |
🇮🇳 인도, K뷰티의 새로운 블루오션 "10년 내 최대 소비국 된다" (5) | 2025.07.26 |
🚐 일본 로손 편의점, “여기서 자도 됩니다” – 차박 서비스 시범 운영 (0) | 2025.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