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시사, 상식, IT/국내 시사

🚗 “너도 샀어? 나도 그걸로 뽑았어”…신차 10대 중 1대는 전기차

2025. 8. 17. 23:39

출처: 셔터스톡

 

📊 상반기 자동차 등록 현황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신규 자동차 등록 84만6000대 중 전기차는 **9만4000대(11%)**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사상 처음으로 신차 등록에서 전기차 점유율이 두 자릿수에 진입한 기록입니다.

  • 친환경차(전기차·수소차·하이브리드) 전체 신규 등록은 38만9000대
  • 전체 등록 자동차 누적 대수: 2640만8000대 (인구 1.94명당 1대 보유)
  • 친환경차 누적 등록: 310만6000대 (전년 대비 13.1% 증가)
  • 내연기관차 누적 등록: 2312만2000대 (전년 대비 24만9000대 감소, -0.14%)

특히 경유차 감소가 내연기관 차량 축소의 핵심 요인이었습니다.

 

⚡ 전기차가 시장을 주도하는 이유

전기차 등록 급증에는 몇 가지 뚜렷한 요인이 있습니다.

  1. 정부 보조금·세제 혜택 강화
    • 전기차 구매 인센티브가 상향 조정되면서 소비자 부담이 줄었습니다.
    • 충전 인프라 확충과 고속도로 할인 등 혜택도 매력 요인입니다.
  2. 내연기관 규제 강화
    • 도심 배출가스 규제가 강화되고, 경유차 규제 정책이 확대되면서 디젤 수요는 빠르게 감소하고 있습니다.
  3. 소비자 인식 변화
    • 전기차는 단순한 ‘환경차’가 아니라,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의 상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 “너도 샀어? 나도 샀어”라는 말처럼 동료·이웃 간 확산 효과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 여전히 낮은 전기차 비중

다만 아직까지 전체 자동차 등록에서 전기차 비중은 **2.9%**에 불과합니다.
77만5000대가 등록되어 있지만, 내연기관차 2312만 대와 비교하면 여전히 작은 규모입니다.

👉 즉, 신차 시장에서는 빠르게 성장 중이지만, 전체 자동차 시장 구조를 바꾸기까지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 전기차·하이브리드·수소차 비교

  • 하이브리드차: 상반기 26만7000대 증가 → 여전히 친환경차 성장의 주력
  • 전기차: 9만1000대 증가 → 성장률 최고, 시장의 중심 이동 중
  • 수소차: 1000대 증가 → 여전히 미미, 인프라 부족과 높은 가격이 걸림돌

즉, 현재는 하이브리드 → 전기차 → (장기적으로) 수소차라는 흐름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출처: 한국경제뉴스

 

🏎️ 시장 전망과 과제

앞으로 전기차의 확산은 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습니다.

  1. 충전 인프라 부족
    • 도심은 포화 상태지만, 지방이나 아파트 단지 충전소는 여전히 부족합니다.
  2. 배터리 수명·재활용 문제
    • 대규모 전기차 배터리 교체 시기가 다가오면 폐배터리 처리와 재활용 산업이 핵심 이슈로 떠오를 것입니다.
  3. 전력 수급 문제
    • 전기차가 급격히 늘면 전력 수요가 폭증합니다.
    • 재생에너지 확대와 전력망 안정화가 병행되지 않으면 **‘친환경 역설’**에 부딪힐 수 있습니다.

 

 

✅ 맺음말

2025년은 한국 자동차 시장에서 전기차 대중화의 분기점으로 기록될 만한 해입니다.
비록 전체 누적 등록 비중은 아직 3%에 불과하지만, 신차 등록에서 10대 중 1대가 전기차라는 사실은 **‘시장의 흐름이 바뀌고 있다’**는 분명한 신호입니다.

앞으로 정부의 정책 지원, 충전 인프라 확충, 배터리 기술 혁신이 맞물린다면 전기차는 더 이상 ‘특별한 차’가 아니라, 일상의 기본 선택지가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