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시사, 상식, IT/국제 시사

😨 “이건 충격 넘어 공포” 위장 취업한 북한 IT 인력…기업 기밀도 위험하다

2025. 8. 22. 23:22

출처: 고용노동부 제공

 

🚨 무엇이 문제인가?

최근 미국 법무부는 북한 IT 인력의 불법 활동을 대규모로 단속했다고 밝혔습니다.

  • 이들은 국적과 신분을 위장해 북미·유럽 기업 프로젝트에 참여
  • 단순히 월급을 송금하는 수준이 아니라,
    • 기업 기밀을 첩보 활동에 활용
    • 해고 후 내부 데이터를 빌미로 협박
    • 사이버 작전에 재활용 가능성까지 제기

구글 클라우드 보안 전문가들도 “포춘 1000대 기업조차 위장취업 사례가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 북한 IT 인력, 어떻게 잠입하나?

  • 가명·위장 이력서 활용
  • 프로젝트 기반 단기 계약으로 접근
  • 저가 개발비 제안으로 기업 유혹
  • 화상면접 회피 → 카메라 끄기, 대리인 참여 등

👉 표면적으로는 성실한 개발자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조직적 해킹 인력일 수 있다는 겁니다.

 

2018년 미국 연방수사국(FBI)의 공개 수배 명단에 오른 북한 해킹 조직 라자루스 소속 박진혁, 출처: AP

 

⚡ 왜 지금 더 위험한가?

  1. 금전 목적 사이버 공격 증가
    • 단순 정치적 목적이 아니라, 외화벌이와 갈취가 주요 동기
  2. AI·클라우드 환경 확산
    • 개발자 1명이 접근할 수 있는 기업 데이터 범위가 과거보다 훨씬 넓음
  3. 보안 프로세스 허점
    • 원격 근무 확산으로 신원 확인이 느슨해져 취업 검증 절차의 구멍이 커짐

 

🔎 의심해야 할 징후들 (구글·정부 권고)

  • 화상 면접에서 카메라 사용 거부
  • 실물 신분증 제시 거부
  • 업무용 기기를 다른 주소로 보내달라 요청
  • 터무니없이 낮은 개발비 제안
  • 협업 중 불시 화상통화 요청을 회피

👉 이런 징후가 있다면 즉시 HR·보안팀과 공유해야 합니다.

 

 

🛡️ 기업이 취해야 할 대응책

  • 채용 프로세스 강화: 실물 신분증 + 화상 검증 필수
  • 협력사 관리: 기존 외주 개발자도 정기적으로 재검증
  • 데이터 접근 최소화: 업무 범위 외 자료 접근 차단
  • 퇴직자 관리: 퇴사 직후 계정·VPN 접근 즉시 해지
  • 위협 인텔리전스 연계: FBI, 국정원 등 공개 수배 정보 적극 활용

 

✅ 정리

북한 IT 인력 위장취업은 단순한 채용 리스크가 아니라,

  • 기업 기밀 유출
  • 사이버 공격 사전 준비
  • 금전적 협박

으로 이어질 수 있는 안보 위협입니다.

👉 기업과 기관은 더 이상 “남의 일”로 여기면 안 됩니다. 채용 프로세스 보안이 곧 사이버 방어의 최전선입니다.